인테리어 리모델링 철거 후에 하게 되는 시공은 바로 샷시이다.
샷시는 화장실 공사와 함께 돈이 제일 많이 들어가는 공정 중 하나!
샷시는 윈체 현대창호부터 유명하고 많이 하는 LG창호 지인, 그리고 KCC창호가 있다.
나는 KCC창호를 선택했으니 KCC창호, 20평대 기준으로 기록한다.
왜인지 모르게 개인적으로 LG보다는 KCC가 조금 더 전문적인 느낌이 들었고, LG가 KCC보다는 조금 더 비싸서 그냥 KCC로 하기로 했다.
지금에 와서야 돌이켜 생각해보면 내가 이렇게 결정을 내린 것은 상당히 비합리적이란 사실을 알 수 있다. KCC샷시에 불만족해서가 아니다. 9개월정도 사용하고 있어서 잘 모를 수도 있지만 충분히 예쁘고 충분히 견고해서 잘 사용하고 있다. 다만, 문제는 샷시시공이 몇 백만원이나 하는데 괜히 내가 어렵고 복잡해 보여서, 다른 공정보다 생소한 분야여서 내가 적극적으로 알아보려는 노력을 하지 않았다는 데에 있다. 문손잡이는 을지로일대를 직접 발품팔며 디자인 확인하고 가격도 물어보면서 구매했는데 말이다. (현타) 이것은 아마도 인간의 뇌가 오래전부터 복잡하고 어려운 일은 회피하려는 성향을 간직해서가 아닐까,,,, 싶긴하다. ㅠㅠ
그래서 혹시나 나처럼 '그냥 LG가 좋다니까, KCC가 유명하니까' 이런 이유로 마음의 결정을 하셨다면, 조금은 알아보고 결정하면 만족도가 더 높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외벽은 뉴프라임 이중창(26T), 안쪽은 굳이 외벽만큼 좋게 할 필요는 없으니 일반형 이중창/단창(24T)으로 했고,
색깔은 WHITE(흰색)을 선택했다.
실버도 노노, 나는 화이트톤의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고 화사한 집을 원했다.
[샷시 시공 과정]
1. 인테리어 실장님이 대략적으로 실측하고 이 자료를 업체에 넘겨 1차 견적을 내준다.
2. 대략적인 비용 확인 후, 시공여부 결정
3. 업체 담당자가 방문하여 실측하고 최종 견적서를 받는다
** 품명, 규격(크기), 유리사양(두께 및 로이유리 옵션여부), 색상 등을 꼼꼼히 확인해야함.
샷시가 제작되어 버리면 취소 불가
4. 계약금 입금 / 샷시 제작
5. 샷시 시공 / 검수 후 잔금 입금
로이유리(LOW-E 유리) 옵션 추가
로이유리는 외창에 금속물질(은)이 코팅되어 있어 단열에 조금 유리하다며 외창에 로이유리를 적용할 것인지 물어보셨다.
'안하는 것보다 낫겠지'란 생각으로 로이유리를 선택했다. 인터넷에 로이유리를 검색해보았더니 무언가 결정에 참고할 만한 별다른 객관적인 자료가 없었기에 ㅠㅠ
로이유리 옵션 추가비용은 총 22만원이었다. 20평대 기준.
(당연히 외창에만 적용했고, 견적서를 보니 창 규격마다 옵션가격이 책정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서 규격에 따라 비용이 변동되는 것 같다)
모루유리(투명, 세로살 무늬) 옵션 추가
일반적으로 베란다에 사용하는 '터닝도어' 유리의 결은 이렇게 생겼다. 동글동글한 느낌.
이것도 예쁜데 인터넷에서 레퍼런스를 찾으며 다른 집 인테리어도 보다보니 더 예쁜 결의 유리를 발견했다.
이름하여 '모루유리'
실제 모루유리 옵션을 추가해서 시공한 우리집 베란다 터닝도어다.
저렇게 앞베란다에 1개 옵션을 추가했고, 모루유리 추가비용은 10만원이었다.
개인적으로는 이렇게 세로결의 모루유리가 더 예쁘고 추가금이 있었지만 너무너무 만족스럽다.
잠김방식과 샷시 손잡이, 방충망 여부 선택
샷시 문을 닫으면 자동으로 잠기는 자동핸들이 있고, 우리가 흔히 예전부터 아는 걸쇠를 걸어 잠그는 방식을 크리센트라 하고, 크리센트 샷시에는 일반형 핸들이 달린다.
샷시를 다 하얗게 하얗게 하고 싶었던 나는 일반형 샷시 손잡이가 어떻게 생긴지 모른 상태에서(ㅠㅠ) 그냥 단순히 '굳이 방 샷시에 자동핸들 해야해?' 하는 마음으로 방에는 일반형 핸들을 달았다.
그리고 시공한걸 보니,,,,, 음 자동핸들 할걸 싶기도 했다. 못생겼어 ㅠ_ㅠ
(근데 살아보니 신경 1도 안쓰인다. 역시 처음에만 신경 쓰이는 것이였어, 지금은 저게 검정색인지도 잘 눈에 안 띔)
샷시 일반형 손잡이에서 자동잠김 핸들로 변경하려면 개당 25,000원의 옵션 추가금이 부과된다.
샷시를 나처럼 하얗게 하얗게 만들고 싶다면, 샷시 손잡이도 일반형 말고 자동잠김 핸들로 추가금 내고 변경하는 것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방충망은 외창에만(베란다) 달았는데, 살아보니 안방 창에도 하나 설치할 걸 싶었다.
여름에 에어컨을 켜지만 켜지 않을 때도 있고, 한여름이 지나고 나면 베란다 문을 열고 베란다와 연결 된 안방 문을 열고 자는데 이놈의 모기가 자꾸 안방으로 들어온다.
올 여름 집에서, 특히 안방에서만 99%의 모기가 발견된 사례를 보았을 때, 분명 베란다의 우수관 틈을 통해 들어오는 것이 분명하다. 베란다 샷시 물구멍에는 다 방충망 모양의 스티커를 붙였기 때문에,,,,,!
여름에 자다 깨서 모기와 술래잡기 하고 싶지 않다면, 샷시 하는 김에 안방에도 방충망을 하나 추가하는 것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물론, 우리 아파트만 베란다 우수관 통로에 모기들이 사는 것일지도 모른다,,,,, ^_ㅠ
샷시 창 형태
창 형태도 정해야 한다.
# 표시된 부분에 핸들이 달리고 그쪽에서만 열 수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깊게 생각하지 않아서 샷시 견적 담당자가 기본으로 알아서 셋팅해준 내역을 확인하기만 했다.
그런데 또 그렇게 해준대로 시공해서 막상 살아보니 불편한 점들이 발견된다.
특히 베란다 샷시 창은 기본 셋팅이 2UB였는데, 열 수 있는 창의 폭이 조그매서 환기 확- 하고 싶은 날 문을 조금밖에 못 열어 굉장히 답답하다. (ㅠㅠ)
게다가 이사할 때, 사다리차의 사다리 사이즈가 안 들어가서 고정이 잘 안되었다. 결국 난간에 사다리를 테이프로 칭칭 감아서 사용했다.
뭐 이사는 해당 집에서 해봤자 두 번이니까 이부분은 둘째 치고 무조건 환기할 때 불편!!!
나중에 이사가는 집에 샷시를 새로 한다면 베란다 창은 무조건 창 폭이 넓은 2W로 할 것이다.
샷시 창 형태도 그냥 별 생각없이 나처럼 넘기시지 말고, 조금 더 생각해보시길 권한다.
인테리어 리모델링에 역시 '대충'이란 존재해서는 안 된다. 아는 만큼 공정들과 스펙을 세부적으로 정하여 나의 라이프스타일에 걸맞는 편리한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다.
창호사춤 작업
사춤은 창틀과 콘크리트의 공간을 채우는 과정으로서 창호의 무게로 인한 처짐 현상을 방지하고 수직 수평을 유지하며,
창호 주위의 단열을 높이고자 실시한다.
창호 사춤작업의 종류는 몰탈사춤과 우레탄폼 사춤이 있다.
1) 몰탈사춤
- 시멘트, 모래, 물을 섞어 반죽하여 작업 (시멘트:모래 = 1:2)
- 적용 부위는 창틀의 사이즈가 큰 Full창의 하부에 적용함
- 현장에서 제작하는 습식 공사로서 번거롭고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됨(경화속도 느림)
2) 우레탄 폼 사춤
- 폴리우레탄 계열의 단열재를 1액형 용기에 넣은 제품을 도포함
- 창틀 모든 부위에 작용 가능함
- 온도 및 습도에 따라서 경화속도에 차이 발생
- 1액형 우레탄 폼의 특성상 온도와 습도가 높은 날씨에는 사용을 자제
(출처: LX하우시스 시공FAQ 참조)
사춤작업도 별도 옵션으로 추가금이 발생하는데, 샷시업체 담당자분과 인테리어실장님이 확인하더니 이 집은 사춤 필요없다고 하여 하지 않았다.
근데 왜? 왜 사춤작업 필요 없다고 한거지?
당시에는 인테리어 시공 초반이라 어리버리까고 있을 때였고, 단순히 '추가금 안들고 좋네'에서 머물러 왜 사춤이 필요없는지 확인하지 않았다. 조금만 더 생각해보면 견고함이나 단열을 위해서 하는게 맞을 것 같은데,,, 왜 묻지 않았는지 ㅠㅠ
사춤작업이 필요 없다고 하면 왜 필요없는지도 확인하시면 좋을 것 같다.
** 최종적인 샷시견적(가격)은 자재비, 시공비, 양중비, 옵션추가 등 모든 비용을 합해서 약 700여만원 나왔다.
흔히들 '샷시하면 천만원 깨져~'하는 말은 맞다. 천만원 깨진다.
'집의 기록, 인테리어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평대 신혼집인테리어 5. 인테리어가벽/공간분리 현관 작은방 가벽 설치, 가벽 설치비용 (0) | 2021.11.11 |
---|---|
20평대 신혼집 인테리어 4. 단열과 전기기초(전원분리, 콘센트 증설) (0) | 2021.09.26 |
20평대 신혼집 인테리어 3. 샷시 하단부로 에어컨 배관 연장 후 묻기(결론: 에어컨 배관 가리기 하지마세요...) (0) | 2021.09.21 |
20평대 신혼집 인테리어 1. 리모델링 철거 공사와 비용 (0) | 2021.09.19 |
인테리어 디자인사진 레퍼런스 수집을 위한 핀터레스트 활용 꿀팁 (0) | 2021.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