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테리어 디자인사진 레퍼런스 수집을 위한 핀터레스트 활용 꿀팁
모든 작업은 전형적인 틀이 있는 경우에는 이전 사람이 어떻게 했는지를 확인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레퍼런스, 샘플(인테리어 디자인과 인테리어 사진) 등을 참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기존의 잘 된 인테리어 사진을 참고하면 훨씬 쉽고 편한 길을 갈 수 있고, 아이디어와 영감 등을 얻어 나의 작업방향에 참고할 수 있기 때문에 좋다.
따라서, 인테리어 리모델링을 할 때 본인의 취향을 파악하고 내가 좋아하는 것들로 꾸밀 집에 대해 아는 것 뿐만 아니라 레퍼런스 즉 인테리어 사진을 수집하는 일에도 비중을 두어야 한다.
핀터레스트와 오늘의 집을 활용하여 인테리어 리모델링 레퍼런스를 수집하는 꿀팁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1. 레퍼런스(자료) 활용하기
레퍼런스를 통해 내가 원하는 집의 분위기를 파악하면 좋다.
전체적인 부분에 대하여도 좋지만, 세밀하게 작업 할 수 있다면 더 좋다. 인테리어 디자인을 세밀한 부분까지 볼 수록 디테일에 대한 완성도가 높아지기 때문!
인테리어 사진을 많이 참고할 수록 나의 생각들이 보완되고 머릿속에 한결 깔끔하게 정리된다.
일단 남들이 인테리어 디자인을 어떻게 해놓았는지를 많이 봐두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과정들을 거치게 되면 훌륭한 결과물이 나오는 법.
2. 레퍼런스 활용 꿀팁
개인적으로 레퍼런스 자료는 이미지 저장소인 핀터레스트와 인테리어 스토어 및 인테리어 사이트인 오늘의집을 많이 참고했고, 그 외에 인스타그램과 블로그 등도 보았다.
핀터레스트의 자료는 해외에서 업로드한 인테리어 사진들도 많아서 다소 생소한 이미지나 우리의 정서와 맞지 않는 것들도 많았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는 '아파트'가 주거의 대표적인 형태여서 이에 걸맞는 인테리어 디자인 레퍼런스가 필요한데, 핀터레스트에서 검색하면 아파트가 아닌 마당이 딸린 주택의 인테리어 디자인 자료들이 많이 나오는 사례를 들 수 있겠다.
하지만 이 또한 충분히 참고할만한 자료가 되고 이득이 되는 점들이 있다.
핀터레스트는 한가지 컨셉이 어떻게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었는지에 대한 아이디어 자료를 찾기 좋고
오늘의 집은 한가지 컨셉이 각각의 공간에서 즉, 거실 화장실 방에 어떠한 방식으로 활용되었는지 집의 전체적인 측면을 파악하기에 좋다.
예를 들면 '짙은 녹색 타일'이란 컨셉이 어떻게 인테리어에 활용되는지 확인하고자 하면 핀터레스트에서 검색하면 쉽다. 짙은 녹색 타일의 인테리어 사진이 쥬르르륽- 나온다.
그리고 내가 '화이트&우드톤'의 일관된 컨셉이 어떻게 집의 구조에 녹아들어갔는지 확인하고자 할 때는 오늘의집에서 보면 한 눈에 보기 쉽다.
3. 레퍼런스 활용 꿀팁 예시
(1) 일단 요즘 짙은 녹색 타일에 꽂혔다. 이것이 포인트가 된 화장실을 해볼까 생각이 드는데,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현이 되는걸까 확인이 필요하다 -> 핀터레스트에서 검색
타일 색감과 모양, 조합 방식 등을 참고하면서 내가 원하는 인테리어 디자인을 구체화 한다.
(2) 핀터레스트로 내가 원하는 집의 컨셉을 잡았으면, 이것이 공간마다 어떻게 조화롭게 적용되었나 오늘의 집을 통해 확인한다.
오늘의집에서 집들이 탭에 들어가면 다양한 취향을 가진 사람들이 업로드한 본인의 집을 확인할 수 있다.
예시로 '짙은 녹색 타일'을 들었기 때문에 필터로 '녹색'을 선택해서 이에 맞게 필터링 된 컨셉의 집을 확인해 보았다.
꼭 색감이 아니더라도 스타일(미니멀, 내츄럴, 북유럽, 빈티지, 클래식 등) 혹은 공정별(중문, 포세린타일, 원목마루 등)로도 필터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어서 어떠한 레퍼런스든 찾기 쉽고 빠르다.
4. 레퍼런스 활용, 그 다음은?
이렇게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인테리어 리모델링 실장님과 회의를 하면 된다.
자료가 있으면, 특히 시각적 이미지인 인테리어 '사진'이 있으면 서로 오해 없이 명확한 소통을 할 수 있어서 좋다.
인테리어 디자인에 대해 논할 때엔 '사진'을 적극 활용해 보세요.